아시안 게임 테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테니스는 아시안 게임에서 진행되는 테니스 경기를 의미한다. 1958년 도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2022년 항저우 대회까지 매 대회마다 개최되었다. 역대 아시안 게임 테니스에서 일본이 최다 우승 국가이며, 대한민국은 총 메달 수 2위를 기록하고 있다. 테니스 종목은 남녀 단식, 복식, 단체전, 혼합 복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테니스 - 2018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2018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는 2018년 8월 인도네시아 팔렘방에서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이 종합 1위를 기록했다. - 아시안 게임 테니스 - 2002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테니스는 19개국 102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7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3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아시안 게임 테니스 | |
---|---|
테니스 정보 | |
종목 | 테니스 |
영어 종목명 | Tennis |
픽토그램 | image_file: Tennis pictogram.svg |
경기 단체 |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
단체 약자 | OCA |
세부 종목 | 7 |
남자 종목 | 3 |
여자 종목 | 3 |
혼합 종목 | 1 |
2. 역대 아시안 게임 테니스
아시안 게임 테니스는 1958년 도쿄 대회부터 시작되어 1970년 대회를 제외하고 매 대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역대 아시안 게임 테니스 대회, 세부 종목,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역대 대회'''
1958년 제3회 도쿄 대회를 시작으로, 1970년 대회를 제외하고 매 대회마다 개최되었다.
'''세부 종목'''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의 5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된다. 1962년 대회부터는 남자 단체전과 여자 단체전이 추가되어 총 7개 세부 종목이 되었다.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일본 | 27 | 18 | 34 | 79 |
2 | 대한민국 | 16 | 20 | 15 | 51 |
3 | 인도네시아 | 15 | 6 | 21 | 42 |
4 | 중국 | 11 | 16 | 19 | 46 |
5 | 중화 타이베이 | 7 | 6 | 7 | 20 |
6 | 인도 | 6 | 5 | 13 | 24 |
7 | 태국 | 5 | 4 | 8 | 17 |
8 | 필리핀 | 3 | 9 | 13 | 25 |
9 | 이스라엘 | 1 | 1 | 1 | 3 |
10 | 우즈베키스탄 | 1 | 0 | 3 | 4 |
11 | 카자흐스탄 | 1 | 0 | 1 | 2 |
12 | 이란 | 0 | 2 | 2 | 4 |
13 | 스리랑카[1] | 0 | 1 | 4 | 5 |
14 | 파키스탄 | 0 | 1 | 2 | 3 |
15 | 홍콩[2] | 0 | 1 | 0 | 1 |
베트남 | 0 | 1 | 0 | 1 | |
17 | 말레이시아 | 0 | 0 | 2 | 2 |
합계 | 96 | 96 | 162 | 354 |
일본은 아시안 게임 테니스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과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테니스 종목 최다 우승을 차지하며,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2. 1. 역대 대회
경기 | 연도 | 개최 도시 | 최다 우승 국가 |
---|---|---|---|
3회 | 1958 | 도쿄, 일본 | 일본 |
4회 | 1962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일본 |
5회 | 1966 | 방콕, 태국 | 일본 |
7회 | 1974 | 테헤란, 이란 | 일본 |
8회 | 1978 | 방콕, 태국 | 인도네시아 |
9회 | 1982 | 뉴델리, 인도 | 대한민국 |
10회 | 1986 | 서울, 대한민국 | 대한민국 |
11회 | 1990 | 베이징, 중국 | 중국 |
12회 | 1994 | 히로시마, 일본 | 일본 |
13회 | 1998 | 방콕, 태국 | 대한민국 |
14회 | 2002 | 부산, 대한민국 | 대한민국 |
15회 | 2006 | 도하, 카타르 | 인도 |
16회 | 2010 | 광저우, 중국 | 타이완 |
17회 | 2014 | 인천, 대한민국 | 타이완 |
18회 | 2018 | 자카르타–팔렘방, 인도네시아 | 중국 |
19회 | 2022 | 항저우, 중국 | 타이완 |
2. 2. 세부 종목
종목 | 1958 | 1962 | 1966 | 1974 | 1978 | 1982 | 1986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 2010 | 2014 | 2018 | 2022 | 개최 횟수 |
---|---|---|---|---|---|---|---|---|---|---|---|---|---|---|---|---|---|
남자 단식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16 |
남자 복식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16 |
남자 단체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13 | |||
여자 단식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16 |
여자 복식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16 |
여자 단체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13 | |||
혼합 복식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X | 16 |
합계 | 5 | 7 | 7 | 7 | 7 | 7 | 7 | 7 | 7 | 7 | 7 | 7 | 7 | 7 | 5 | 5 |
2. 3.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일본 | 27 | 18 | 34 | 79 |
2 | 대한민국 | 16 | 20 | 15 | 51 |
3 | 인도네시아 | 15 | 6 | 21 | 42 |
4 | 중국 | 11 | 16 | 19 | 46 |
5 | 중화 타이베이 | 7 | 6 | 7 | 20 |
6 | 인도 | 6 | 5 | 13 | 24 |
7 | 태국 | 5 | 4 | 8 | 17 |
8 | 필리핀 | 3 | 9 | 13 | 25 |
9 | 이스라엘 | 1 | 1 | 1 | 3 |
10 | 우즈베키스탄 | 1 | 0 | 3 | 4 |
11 | 카자흐스탄 | 1 | 0 | 1 | 2 |
12 | 이란 | 0 | 2 | 2 | 4 |
13 | 스리랑카¹ | 0 | 1 | 4 | 5 |
14 | 파키스탄 | 0 | 1 | 2 | 3 |
15 | 홍콩¹ | 0 | 1 | 0 | 1 |
남베트남 | 0 | 1 | 0 | 1 | |
17 | 말레이시아 | 0 | 0 | 2 | 2 |
합계 | 96 | 96 | 162 | 354 |
아시안 게임 테니스의 세부 종목별 역대 메달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¹ 혼합 팀으로 참가.
3. 역대 메달리스트
3. 1. 남자 단식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58 | 도쿄 | 레이문도 데이로 | 펠리시모 암폰 | |
1962 | 자카르타 | 조니 호세 | 미야기 아쓰시 | |
1966 | 방콕 | 이시구로 오사무 | 코니시 이치조 | |
1974 | 테헤란 | 사카이 토시로 | 타기 아크바리 | |
1978 | 방콕 | 아텟 위조노 | 니시오 시게유키 | |
1982 | 뉴델리 | 유스테드조 타릭 | 김춘호 | |
1986 | 서울 | 유진선 | 김봉수 | |
1990 | 베이징 | 판 빙 | 장 지우화 | |
1994 | 히로시마 | 판 빙 | 윤용일 | |
1998 | 방콕 | 윤용일 | 이와부치 사토시 | |
2002 | 부산 | 파라돈 시차판 | 이형택 | |
2006 | 도하 | 다나이 우돔초크 | 이형택 | |
2010 | 광저우 | 솜데브 데브바르만 | 데니스 이스토민 | |
2014 | 인천 | 니시오카 요시히토 | 루옌쉰 | |
2018 | 팔렘방·자카르타 | 데니스 이스토민 | 우이빙 | |
2022 | 항저우 | 장즈젠 | 와타누키 요스케 |
3. 2. 남자 복식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58 | 도쿄 | 펠리시모 앙폰 레이문도 데이로 | 미겔 둥고 후안 마리아 호세 | -- 루퍼트 페르디난도 버나드 핀토 |
1962 | 자카르타 | 후지이 미치오 미야기 아츠시 | 레이문도 데이로 후안 마리아 호세 | -- 버나드 핀토 라자 프라에소디 |
미겔 둥고 기예르모 에르난데스 | ||||
1966 | 방콕 | 이시구로 오사무 와타나베 코지 | 루 황 덕 보 반 베이 | 네트라 그라마티카 수테라푼 코라락 |
벤카 다완 미스라 | ||||
1974 | 테헤란 | 히라이 겐이치 사카이 토시로 | 캄비즈 데라프시 자반 알리 마다니 | 모리 료이치 우에하라 나츠타 |
1978 | 방콕 | 하디만 하디만 유스데조 타릭 | 쉬 메이린 쿠 밍화 | 샴 미노트라 치라딥 무케르제아 |
피체트 보라티사 차루에크 헹라스미 | ||||
1982 | 뉴델리 | 김춘호 이우룡 | 전영대 송동욱 | 류 슈화 마 커친 |
1986 | 서울 | 김봉수 유진선 | 류 슈화 마 커친 | 술리스티오노 도날드 와일란-왈랄랑기 |
1990 | 베이징 | 멍 창화 샤 지아핑 | 류 슈화 潘兵|판빙중국어 | 다니엘 헤리안토 보니트 위리야완 |
이진호 지승호 | ||||
1994 | 히로시마 | 가라브 네이타르 리안더 파에스 | 장의종 김치완 | 도니 수세티요 테디 탄중 |
판빙 샤 지아핑 | ||||
1998 | 방콕 | 파라돈 스리차판 나라손 스리차판 | 이형택 윤용일 | 천즈정 린빙차오 |
오노다 미치히사 테라지 타카히로 | ||||
2002 | 부산 | 마헤쉬 부파티 리안더 파에스 | 정희석 이형택 | 무스타파 가우스 비샬 우팔 |
김동현 권오희 | ||||
2006 | 도하 | 마헤쉬 부파티 리안더 파에스 |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 전웅선 김선용 |
세실 마미트 에릭 타이노 | ||||
2010 | 광저우 | 사남 싱 솜데브 데브바르만 | 궁마오신 리저 | 조재성 김현준 |
이추환 리신한 | ||||
2014 | 인천 | 정현 임용규 | 사케스 마이네니 사남 싱 |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
유키 뱁리 디비즈 샤란 |
3. 3. 남자 단체전
3. 4. 여자 단식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58 | 도쿄 | 가모 사치코 | 데시데리아 암폰 | 류샹쿠 |
1962 | 자카르타 | 후쿠이 아키코 | 미야기 레이코 | 데시데리아 암폰 패트리샤 잉가요 |
1966 | 방콕 | 라니 칼리기스 | 구로마츠 가즈코 | 리타 리엠 수기아르토 파노 수드사와스디 |
1974 | 테헤란 | 리타 리엠 수기아르토 | 폴리나 페사호브 | 라니 칼리기스 |
1978 | 방콕 | 이덕희 | 천촨 | 노무라 다카요 요네자와 소노에 |
1982 | 뉴델리 | 이노우에 에쓰코 | 김수옥 | 위리차오 |
1986 | 서울 | 리신이 | 이정순 | 김수옥 |
1990 | 베이징 | 기지무타 아키코 | 천리 | 박말심 김일순 |
1994 | 히로시마 | 다테 기미코 | 사와마쓰 나오코 | 야유크 바스키 천리 |
1998 | 방콕 | 야유크 바스키 | 타마린 타나수간 | 리팡 이징첸 |
2002 | 부산 | 이로다 툴랴가노바 | 타마린 타나수간 | 아사고에 시노부 조윤정 |
2006 | 도하 | 정제 | 사니아 미르자 | 리나 나카무라 아이코 |
2010 | 광저우 | 펑솨이 | 아크굴 아만무라도바 | 쿠루미 다테 기미코 사니아 미르자 |
2014 | 인천 | 왕창 | 룩시카 쿰쿰 | 호즈미 에리 에구치 미사 |
3. 5. 여자 복식
정제장자룽
요네무라 도모코
쑨톈톈
장자룽
셰수웨이
이진아
옌쯔
타마린 타나수간
셰수웨이
잔하오칭
프라르타나 톰바레